2017년 12월 7일 목요일

(과학과 사람들)에서 (사람들)에게 보내서, 그 중 하나인 내가 받은 상자

좁은 집에 보관할 수는 없었다. 그렇다고 그냥 버리기에는 너무 안타까웠다.
사진으로라도 남기고자 한다.
그리고, 이 포장에 찍힌 글처럼, 나 역시 영겁의 시간 속에서 영광이었다.
아직 망원경은 오지 않았다. 들어 있던 것은 스티커, 컵, 티셔츠였다.

서기2017년 11월 8일에 받아서 사진을 찍었다.
--
스맛폰의 사진을 정리하면서 17년 12월8일에 여기에 올린다.
-







2017년 9월 5일 화요일

위키피디아의 라듐 페이지에서 인용한 것으로 보이는 책 ( 케미토피아 ... )


-
애초에
https://www.facebook.com/sciencewithpeople/
에서 한 퀴리 부인 방송을 듣다가 라듐을 찾아보게 되었다.
-
위키피디아에서  라듐( https://ko.wikipedia.org/wiki/라듐 ) 페이지에서
...(안전하고 값싼 방사성 물질)....
문장은
( 지금은 더 안전하고 값싼 방사성 물질이 의료 부문과 공업에 라듐 대신 쓰이고 있다.)
라는 것이었다. 

이라고 나오길래 도대체 더 안전하고 값싼 방사성 물질이 무엇인지 궁금해져서,

_( 안전하고 값싼 방사성 물질 )_ 이라고 검색해 봤다.

결과로는 물질 이름이 아닌 그 문장을 언급한 책이 나왔다.

제목과 저자는 _( 케미토피아: 화학으로 만들어가는 세상 By 한국화학연구원 )_이었다.

_( 이지사이언스 시리즈12 )_권 이었다. _( 과학창의재단 )_에서 발행한 책으로 보인다.

https://www.google.co.kr/search?id=IK3_CAAAQBAJ&pg=PT92&lpg=PT92&dq=안전하고+값싼+방사성+물질&source=bl&ots=VTOgGQpL6X&sig=avPeq0qDR_ZYzNqbcbZy73J1yNk&hl=en&sa=X&ved=0ahUKEwjMq_f5sY_WAhXFwrwKHT4fDKEQ6AEIJjAA#v=onepage&q=안전하고 값싼 방사성 물질&f=false

실제 링크는 아래이다.
https://books.google.co.kr/books?id=IK3_CAAAQBAJ&pg=PT92&lpg=PT92&dq=%EC%95%88%EC%A0%84%ED%95%98%EA%B3%A0+%EA%B0%92%EC%8B%BC+%EB%B0%A9%EC%82%AC%EC%84%B1+%EB%AC%BC%EC%A7%88&source=bl&ots=VTOgGQpL6X&sig=avPeq0qDR_ZYzNqbcbZy73J1yNk&hl=en&sa=X&ved=0ahUKEwjMq_f5sY_WAhXFwrwKHT4fDKEQ6AEIJjAA#v=onepage&q=%EC%95%88%EC%A0%84%ED%95%98%EA%B3%A0%20%EA%B0%92%EC%8B%BC%20%EB%B0%A9%EC%82%AC%EC%84%B1%20%EB%AC%BC%EC%A7%88&f=false
-

위키피디아의 라듐 내용에는 2017년 9월6일 현재 이 문서의 출처가 분명하지 않다고 나온다.
_( 이 문서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_

이 위키피디아 내용은 _( Paulmath )_ 님이 거의 8년 전에 추가한

(최신 | 이전) 2009년 3월 9일 (월) 00:19Paulmath (토론 | 기여). . (3,677 바이트) (+2,310). . (편집 취소)

내용에 처음 등장한다.

이 위키피디아 저자는 위키피디아에 많은 글을 올리는 활동을 하긴 하셨지만,
https://ko.wikipedia.org/wiki/사용자토론:Paulmath

저작권 문제로 많은 문제를 일으킨 분으로 보인다.

이 글도 저작권문제가생기지는 않을지 걱정된다.

-
-

2017년 7월 24일 월요일

인터넷에 있는 물리학 강의 검색해 보기

구글에서
_(  구글검색:   물리학 강의  )_ 해봤다.
꽤나 많은 결과가 나왔다.

그 중에서 맨 처음에 올라온 것이
나무위키의 _( 파인만의 물리학 강의 )_ 페이지였다.

https://namu.wiki/w/%ED%8C%8C%EC%9D%B8%EB%A7%8C%EC%9D%98%20%EB%AC%BC%EB%A6%AC%ED%95%99%20%EA%B0%95%EC%9D%98


그외에도 국내 ( 나름 명문인 ) 대학의 일반 물리학 강의 페이지도 포함되어 있었다.

-
-

파인만 강의가 웹에 공개되었다는 (오래된) 소식

출처는 아래와 같다. 무려 글 쓰는 때로부터 약 4년 정도된 2013년부터라고 한다.

http://ryulab.tistory.com/217

이 출처에 의하면, 파인만 강의가 공개된 곳은

http://www.feynmanlectures.caltech.edu/

이다.
파인만 강의록은 3권인데, 현재 이 3권 모두 공개된 상태라고 한다.

-
-

2017년 1월 9일 월요일

물리학과 추천 과정 교과도서 (미완성 작성중)

대학교 1학년 : 일반 물리학
권영대 역 (대표역자) 대학 물리학 ( 원제: Essentials of Physics )
A. Beiser (Arthur Beiser)
B. Borowitz
--
미분적분학

대학교 2학년 :
선형대수
Steven J. Leon ( Linear Algebra with Applications ) 원서는 초판부터 모두 (글 작성 당시 2017년 현재 8판이 최신)

http://physics-books-aiamama.blogspot.kr/2016/07/blog-post.html

미분방정식
고등미적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