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10월 23일 일요일

[ 내부] 블로거에서 수식표현하기 관련 TeX 낙서연습장

Javascript 를 블로그의 페이지에 넣으면, 웬만한 블로그 페이지에 수식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script type="text/javascript" src="https://cdn.mathjax.org/mathjax/latest/MathJax.js" >
MathJax.Hub.Config({
extensions: ["tex2jax.js","TeX/AMSmath.js","TeX/AMSsymbols.js"],
jax: ["input/TeX", "output/HTML-CSS"],
tex2jax: {
inlineMath: [ ['$','$'], ["\\(","\\)"] ],
displayMath: [ ['$$','$$'], ["\\[","\\]"] ],
},
"HTML-CSS": { availableFonts: ["TeX"] }
});
</script>

위에 적은 script를 사용해서, 아래와 같이 수식을 사용할 수 있다.

구글 블로거의 블로그 글쓰기를 하는 화면에서 [ 글쓰기 | HTML ] 버튼에서
| HTML ] 을 선택하고 위의 code를 붙여 넣는다. 그리고, ( [ 글쓰기 | )버튼을 사용해서 글을 쓰고, 수식이 필요한 것은 TeX 및 LaTeX 에서 수식을 쓸 때에 사용하는 방법을 써서 표현하면 된다. 그 방법은 TeX 및 LaTeX 에 대해서 알아보기 바란다.

이것은 MathJax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다.
구글에서 _( blogger에서 mathjax 사용 )_을 검색했었다.
더 구체적으로는 아래의 2곳을 많이 참고 했다.

http://khanrc.tistory.com/entry/MathJax-%EC%82%AC%EC%9A%A9%ED%95%98%EA%B8%B0

http://studymake.tistory.com/14

여기에 나온 것은 수식에 번호까지 자동으로 붙여주는 기능이 있다. 여기에 사용된 script에 1줄만 더 넣어 주면 되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여기에는 일단 불필요해서 사용하지 않았다.

위에 나온 방법은 간편하지만, 2016년 현재의 구글 블로거 _에서는 https:// 가 아닌, http:// 프로토콜 사용을 보안상의 이유로 금지(또는 경고)하고 있다. 그래서 아래의 MathJax공식 문서에서
https:// 를 사용하는 부분을 뽑아와서 교체했다.

http://docs.mathjax.org/en/latest/configuration.html#loading-mathjax-from-the-cdn

그리스 알파벳은 아래에서 찾아 볼 수 있다.
https://en.wikipedia.org/wiki/Greek_alphabet

https://ko.wikipedia.org/wiki/그리스_문자
https://ko.wikipedia.org/wiki/%EA%B7%B8%EB%A6%AC%EC%8A%A4_%EB%AC%B8%EC%9E%90

$ \TeX\ $(ㅋㅎ)에서의 표현은, $ \TeX\ $문서를 보면 될 듯하고, 그리스 알파벳을 나타내는 방법은,
수식의 내용을

\[
ma^{2}(\vec{i'}\ddot{\chi}-\vec{k'}\dot{S}-\vec{i'}S\dot{\varphi})-mga\vec{i'}\chi=\vec{i'}(I\ddot{\chi}+T_{S}S\dot{\varphi})+\vec{j'}(I\ddot{\varphi}+I_{S}S\dot{\chi})+\vec{k'}I_{S}\dot{S}
\]

로 작성해 주면 아래의 수식으로 변환되어 표현된다.

\[
ma^{2}(\vec{i'}\ddot{\chi}-\vec{k'}\dot{S}-\vec{i'}S\dot{\varphi})-mga\vec{i'}\chi=\vec{i'}(I\ddot{\chi}+T_{S}S\dot{\varphi})+\vec{j'}(I\ddot{\varphi}+I_{S}S\dot{\chi})+\vec{k'}I_{S}\dot{S}
\]

이렇게 사용했다.
-
-
-

2016년 10월 18일 화요일

[잡다한 과학 스크랩] 세상에서 가장 지루한 .. ㅋ (다윈 / 종의기원) + 동아출판_사 + 동아시아_출판

 

일단 아래의 링크를 따라가 보기 전에 주의할 것을 경고한다. 

보고나서는 광고 페이지가 뜰 것이다 !  미리 말했으니 너무 기분 나빠하지 말자. 나는 광고를 보라고 한 것이 아니고 (다윈 / 종의 기원)을 읽은 독후감을 보게 하고 싶은 것이었고, 광고 페이지가 뜨는 것은 내가 어떻게 할 수 없는 것이다. 유감스럽다.

http://m.pressian.com/m/m_article.html?no=140657


동아시아 출판사.. 궁금해졌다.

이름은 동아 출판사와 비슷했다.
두산에서는 동아 출판사를 팔아 넘겼다고 지인에게 들었다. 어딘지는 모른다.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641783

동아 출판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는 곳인 것 같다. 

time:  19-10월-2016
-

오랫만에 들러봤다. 동아 출판사는 아래에서 정보가 갱신되어있었다.

  yes24 온라인 서점에서 인수했다고 나온다.

 출판사가 어려움에 빠진 이유가 아주 간략히 언급되어 있다.

찾은 방법은 _( 구글검색:  동아출판사 소유자 )_  로 했다.

https://wikipedia.lurkmore.com/wiki/%EB%8F%99%EC%95%84%EC%B6%9C%ED%8C%90%EC%82%AC?lang=ko

그런데  _(  lurkmore.com )_ 이 어디이길래 위키피디아 서버를 갖고 있을까? 여기도 궁금증을 불러 일으키는 특이한 곳이다. 보통은   wikipedia.org     라고 되어있는 것이 보통인데...

time:  4-5월-2023

-
-

2016년 10월 16일 일요일

Fowles, Analytical Mechanics information

Errata (오타 기록)

4th Edition
p.251 (251쪽)
(9.61) 식
$ ma^{2}(\vec{i'}\ddot{\chi}-\vec{k'}\dot{S}-\vec{i'}S\dot{\varphi})-mga\vec{i'}\chi=\vec{i'}(I\ddot{\chi}+T_{S}S\dot{\varphi})+\vec{j'}(I\ddot{\varphi}+I_{S}S\dot{\chi})+\vec{k'}I_{S}\dot{S}  $
---->
$ ma^{2}(\vec{i'}\ddot{\chi}-\vec{k'}\dot{S}-\vec{i'}S\dot{\varphi})-mga\vec{i'}\chi=\vec{i'}(-I\ddot{\chi}+I_{S}S\dot{\varphi})+\vec{j'}(I\ddot{\varphi}+I_{S}S\dot{\chi})+\vec{k'}I_{S}\dot{S} $

---
---
참고 내용...
---
제 6판 384쪽 (9.10.9) 식도 똑같은 오류이다. 아마도 최신판도 같은 오류가 있을지도 모른다.

---

---

소스는 아래와 같다.
$ ma^{2}(\vec{i'}\ddot{\chi}-\vec{k'}\dot{S}-\vec{i'}S\dot{\varphi})-mga\vec{i'}\chi=\vec{i'}(I\ddot{\chi}+T_{S}S\dot{\varphi})+\vec{j'}(I\ddot{\varphi}+I_{S}S\dot{\chi})+\vec{k'}I_{S}\dot{S}  $
---->
$ ma^{2}(\vec{i'}\ddot{\chi}-\vec{k'}\dot{S}-\vec{i'}S\dot{\varphi})-mga\vec{i'}\chi=\vec{i'}(-I\ddot{\chi}+I_{S}S\dot{\varphi})+\vec{j'}(I\ddot{\varphi}+I_{S}S\dot{\chi})+\vec{k'}I_{S}\dot{S} $


TeX 수식이 참 답답해 보였다.
---


이외에도 몇개가 더 있다. 시간날 때, 웬만하면 올리겠다.

---
4th edition p.245; 제 4판 245쪽
6th edition p.374; 제 6판 374쪽
---
m=200g 이 아닌, m=100g 이 대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 이후의 계산도
책의 내용과 다르게 진행되어야 한다.
---
아래의 사진에 표시했다.
---
처음 2장은 4판의 244, 245쪽이다.
마지막 3째장은 6판의 374쪽이다.
같은 오류가 복사/붙이기 (copy/paste) 되어 있다.
최신판에도 같은 오류가 있을 가능성이 높다.
---



---

오타가 있다는 정보는 아래에도 있지만, 나는 모르고 있는 것이거나, 몰랐던 것일 것이다.

https://www.dctech.com/physics/errata/fowles.php

-
-
-

2016년 10월 6일 목요일

[잡다한 과학 스크랩] 기하학이 그 이름( [기하] (!) -학)을 가지게 된 이유...

원문은..
http://librekim.khan.kr/606

아래의 prezi 내용도 매우 재미 있다.
https://prezi.com/qj7zao-qdtgj/presentation/
그러나, 인터넷은 너무 쉽게 변하므로, 서두 일부만 발췌해 놓는다. (음.. 거의 본문인가..)
책은 일단 두권이 소개된다.
==
(1) 국문학자 겸 영문학자인 양주동 선생의 수필집 ‘문주반생기’(文酒半生記)

(2) 제목:
기하학 원론 - 평면기하 -
표지 내용: [가] 제 1, 2, 3, 4 권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수학책
유클리드 씀
이무현 옮김

교우사 발행
==
그리고, 발췌된 글 이후에는  기하학 원론을 읽은 수많은 유명인사들의 일화가 소개 된다.
나처럼 외로운 사람에게는 참 반가운 내용이었다.

==
자칭 ‘국보 1호’였던 국문학자 겸 영문학자인 양주동 선생의 수필집 ‘문주반생기’(文酒半生記)에는 기하학에 관한 흥미로운 일화가 실려 있다. 양 선생은 중학교 속성과정에 입학한 직후 새로 산 교과서를 보다가 문득 의문이 들었다. ‘기하’(幾何)라는 과목이 무슨 뜻인지 알수 없었다. 한문의 뜻만 보면 몇(幾) 어찌(何)였다. 궁금증을 떨쳐버리지 못한 그는 첫 시간에 선생님에게 심각하게 질문했다. “선생님, 기하가 도대체 무슨 뜻입니까?, ‘몇 어찌’(幾何)라니요?”

 모든 학생들이 “와~”하고 웃었지만, 선생님은 진지한 질문임을 확인한 뒤 이렇게 설명했다. “영어의 ‘geometry’를 중국 명나라 말기의 서광계(徐光啓)라는 유명한 학자가 중국어로 번역하면서 ‘지오’를 따서 ‘지허’(幾何)라고 음역(音譯)했다. 이를 우리 한자음을 따 ‘기하’라고 표기하게 됐다.” 원래 뜻인 ‘토지(geo) 측량(metry)’과 거리가 먼 번역어가 그래서 나온 것이다. 기하학은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됐다. 해마다 나일 강이 범람해 내 땅이 어디까지인지 알아내기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는 방편으로 기하학이 발전할 수 밖에 없었다.

 고대 그리스 플라톤의 아카데미아 정문에 ‘기하학을 모르는 사람은 이 문으로 들어오지 말라’는 현판이 내걸렸을 만큼 기하학은 모든 학문의 기초였다. 기하학을 강조했던 플라톤은 “신은 기하학적으로 사고한다”는 말을 남기기도 했다. 오늘날 ‘기하학’이라면 유클리드를 가장 먼저 떠올릴 정도로 유클리드는 기하학의 대명사다. 그런 유클리드가 플라톤학파에서 공부했다는 사실은 너무나 당연하게 다가온다. === === http://www.kyowoo.co.kr/02_sub/list.php?cate=0052_0058_&sort=sales_charts&output_opt= 기하학원론 [가] (제1, 2, 3, 4권)(평면기하)
기하학원론 [가] (제1, 2, 3, 4권)(평면기하) 유클리드 지음·이무현 옮김교우사2009년 발행 ISBN: 978-89-8172-047-6 ☆☆☆☆☆ 0 [리뷰 0] 판매중 10,000 원 9,500 원 5%할인 0 포인트

기하학원론 [나] (제 5, 6, 7, 8, 9권) (비율, 수)
기하학원론 [나] (제 5, 6, 7, 8, 9권) (비율, 수) 유클리드 지음·이무현 옮김교우사2009년 발행 ISBN: 978-89-8172-048-3 ☆☆☆☆☆ 0 [리뷰 0] 판매중 12,000 원 11,400 원 5%할인 0 포인트

기하학원론 [다] (제10권) (무리수)
기하학원론 [다] (제10권) (무리수) 유클리드 지음·이무현 옮김교우사2009년 발행 ISBN: 978-89-8172-060-5 ☆☆☆☆☆ 0 [리뷰 0] 판매중 15,000 원 14,250 원 5%할인 0 포인트

기하학원론 [라] (제11, 12, 13권) (공간기하)
기하학원론 [라] (제11, 12, 13권) (공간기하) 유클리드 지음·이무현 옮김교우사2009년 발행 ISBN: 978-89-8172-066-7 ☆☆☆☆☆ 0 [리뷰 0] 판매중 11,000 원 10,450 원 5%할인 0 포인트

기하학원론 [자] (㉱(제11,12,13권)해설서)
기하학원론 [자] (㉱(제11,12,13권)해설서) 유클리드 지음·이무현 옮김교우사2010년 발행 ISBN: 978-89-8172-153-4 ☆☆☆☆☆ 0 [리뷰 0] 판매중 15,000 원 14,250 원 5%할인 0 포인트

기하학원론 [아] (㉰(제10권)해설서)
기하학원론 [아] (㉰(제10권)해설서) 유클리드 지음·이무현 옮김교우사2009년 발행 ISBN: 978-89-8172-149-7 ☆☆☆☆☆ 0 [리뷰 0] 판매중 11,000 원 10,450 원 5%할인 0 포인트

기하학원론 [사] (㉯(제5,6,7,8,9권)해설서)
기하학원론 [사] (㉯(제5,6,7,8,9권)해설서) 유클리드 지음·이무현 옮김교우사2009년 발행 ISBN: 978-89-8172-115-2 ☆☆☆☆☆ 0 [리뷰 0] 판매중 15,000 원 14,250 원 5%할인 0 포인트

기하학원론 [바] (㉮(제2,3,4권)해설서)
기하학원론 [바] (㉮(제2,3,4권)해설서) 유클리드 지음·이무현 옮김교우사2009년 발행 ISBN: 978-89-8172-114-5 ☆☆☆☆☆ 0 [리뷰 0] 판매중 10,000 원 9,500 원 5%할인 0 포인트

기하학원론 [마] (㉮(제1권)해설서)
기하학원론 [마] (㉮(제1권)해설서) 유클리드 지음·이무현 옮김교우사2009년 발행 ISBN: 978-89-8172-113-8 ☆☆☆☆☆ 0 [리뷰 0]



유클리드가 집대성해 펴낸 ‘기하학원론’(원제 Stoicheia, 영어로는 Elements)은 2000년 넘게 기하학 교육을 지배하고 있다. 13세기 영국 철학자 로저 베이컨의 말이 이를 잘 대변한다.“신은 이 세계를 유클리드 기하의 원리에 따라 창조했으므로 인간은 그 방식대로 세계를 그려야 한다.”

 ‘기하학원론’은 ‘세계의 기원이 된 책’으로 불린다. 기원전 3세기에 이 책을 쓴 고대 그리스 수학자 에우클레이데스는 우리에게 유클리드라는 영어 이름으로 더 많이 알려져 있다. 유클리드가 위대한 것은 수많은 기하학적 명제들을 발견해서만이 아니다. 그것들을 단 다섯 개의 공리에서 연역적으로 이끌어내 ‘기하학원론’에 집대성했기 때문이다. 그는 다양한 원천으로부터 자료를 한데 모아 정리와 증명으로 이루어진 논리적이고 연역적인 구조를 짜냈다. 그뿐만 아니라 이 명제들은 평평한 추상적 공간을 전제로 한다면 지금도 대부분 참이다.

 이 책의 핵심인 유명한 공리(公理)는 다섯 가지다. (1) 동일한 것과 같은 것은 서로 같다.(A=B이고 B=C이면, A=C이다.) (2) 동일한 것에 같은 것을 더하면 그 전체는 서로 같다.(A=B이면, A+C=B+C이다.) (3) 동일한 것에서 같은 것을 빼면 그 나머지는 서로 같다.(A=B이면, A-C=B-C이다.) (4) 겹쳐놓을 수 있는 것은 서로 같다.(합동인 것들은 서로 같다.) (5) 전체는 부분보다 크다. 공리는 증명을 필요로 하지 않거나, 증명할 수 없지만 직관적으로 자명한 진리의 명제인 동시에 다른 명제들의 전제가 되는 명제다.


 공준(公準)도 다섯 가지다. (1) 임의의 점으로부터 다른 임의의 점에 대해 직선을 그을 수 있다. (2) 유한의 직선을 계속 곧은 선으로 연장할 수 있다. (3) 임의의 중심과 반지름을 가진 원을 그릴 수 있다. (4) 모든 직각은 서로 같다. (5) 하나의 직선이 두 직선과 만나고 같은 쪽에 두 직각보다 작은 각을 만들 때, 이 두 직선을 한없이 연장하면 두 직각보다 작은 각이 만들어지는 쪽에서 두 직선이 만난다. 공준은 과학적 인식의 시초가 되는 명제로서 과학이론의 원리가 된다. ‘기하학원론’은 ‘점은 쪼갤 수 없는 것이다’와 같은 스물세 가지 정의를 바탕으로 삼았다.

 ‘기하학원론’의 수학적 지식은 대부분 유클리드 이전에 알려진 것들이다. 유클리드 자신은 물론 탈레스, 피타고라스, 히포크라테스, 에우독소스 같은 그리스 수학자들의 연구 성과를 총정리한 것이다. 게다가 다각형의 넓이 구하기와 삼각형의 합동 같은 내용은 요즘 들어선 실용성도 다소 떨어진다. 컴퓨터를 이용하거나 삼각함수·해석기하학과 같은 다른 분야의 원리를 적용하면 훨씬 더 쉽게 기하학을 배울 수 있어서다. 그럼에도 ‘기하학원론’을 ‘인류의 책’이라고 하는 까닭은 담겨있는 기하학 지식보다 내용을 전개해가는 형식과 구조의 독창성 때문이다. 논리적인 사고력을 단련시키는 데는 이보다 더 좋은 책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유클리드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그가 그리스 영토였던 알렉산드리아에서 교수로 활동했다는 흔적만 전해진다. 그 때의 에피소드 두 가지가 기하학 야사를 장식한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부장(副將)출신인 프톨레마이오스 왕이 수학을 공부하기 위해 유클리드를 초빙했다. 왕은 기하학이 너무 어려워 싫증을 느꼈다. 왕은 자신에게 어울리는, 좀 더 빠르고 편안한 방법이 없겠느냐고 물었다. 유클리드는 정중하지만 단호하게 아뢰었다. “기하학에는 왕도가 없나이다.” 이 말에서 ‘학문에는 왕도가 없다’는 명언이 파생했다.

 또 다른 일화는 기하학의 중요성을 일깨워준다. 한 제자가 유클리드로부터 정리 한 가지를 배운 뒤 중얼거리듯 말했다. “딱딱한 논리만 있는 기하학이 어디에 쓸모가 있습니까?” 그러자 유클리드는 즉시 노예를 불러 명했다. “저놈에게 동전 한 닢 던져 줘라. 이 불쌍한 인간은 자기가 배운 것으로부터 항상 대가를 얻어야 되는가 보다.”
책 정보:
제목:
기하학 원론 - 평면기하 -
표지 내용: [가] 제 1, 2, 3, 4 권 인류 역사상 가장 중요한 수학책
유클리드 씀
이무현 옮김

교우사 발행